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주린이의 주식 공부기 #6] 주가 패턴 분석하기(Feat. 헤드앤숄더/역헤드앤숄더 패턴, 컵앤핸들, 볼플래그/베어플래그) 1. 헤드앤숄더/역헤드앤숄더 패턴 헤드앤숄더 패턴은 사람의 머리와 어깨 모양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양쪽 어깨와 그 중간에 어깨보다 더 높은 머리가 있는 것과 같이 헤드앤숄더 패턴에서도 왼쪽의 고점을 겪고 조금 하락한 이후 머리, 즉 최고점을 찍고 다시 하락한 후 머리보다 조금 낮은 곳에서 다시 고점(오른쪽 어깨)을 만드는 형태입니다. 이 과정에서 왼쪽 어깨 이후의 저점, 머리 이후의 저점이 지지선의 역할을 하고 이 지지선을 이탈하는 순간부터 하락 추세가 계속 이어집니다. 반대로 역헤드앤숄더 패턴은 앞서 말한 헤드앤숄더 패턴을 그대로 위아래로 뒤집어 놓은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런 헤드앤숄더 패턴을 통해 우리는 주가의 미래 방향을 대략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2. 컵앤핸들 컵앤핸들 역시 주식 차.. 2023. 8. 10.
[주린이의 주식 공부기 #5] 지표를 활용하여 주식 매매 하기(Feat. RSI 지표, 볼린저 밴드, MACD OCI, OBV, 이격도) 1. RSI 지표 RSI 지표란 14일간의 상승폭과 하락폭에 대한 상대 비율을 과매수, 과매도로 표현한 지표입니다. 0부터 100가지의 값으로 표현되며, 0에 가까울수록 주가가 하락하며 과매도된 상태를, 100에 가까울수록 주가가 상승하여 과매수된 상태를 의미하니다. 보통은 RSI 지표가 50을 상향 돌파하면 상승추세로 보고 매수를, 50을 하향 돌파하면 하락 추세로 보고 매도 관점으로 봅니다. 또한 70 이상을 과매수 구간으로 보고 이때부터 매도 준비를 해야 할 시기로, 30 이하를 과매도 구간으로 보고 매수 준비를 할 타이밍이라고 봅니다. 늘 언급하는 부분이지만 RSI 지표만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다른 다양한 지표와 기업 분석에 기반하여 투자를 결정해야 합니다. 2. 볼린저 밴드.. 2023. 8. 9.
[주린이의 주식 공부기 #4] 이동평균선, 거래량 1. 이동평균선 활용 이동평균선이란 설정한 기간에 따라 해당 기간의 평균 가격을 연결한 선입니다. 이동평균선 설정은 차트에서 마음대로 할 수 있으나 보통 5,10,20, 60,120일 선을 많이 사용합니다. 10일선을 예로 든다면 해당 이동평균선의 지점으로부터 10일 전 기간 동안의 종가를 평균 내어 연결한 선인 것입니다. 주식 거래장은 5 거래일마다 장이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보통 5의 배수로 설정하고, 가상화폐 시장에서는 7, 14, 25일 선 등을 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렇듯 이동평균선의 날짜 선정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며 정해진 답도 없습니다. 또한 이동평균선 하나만을 이용해 거래에 도전하기에도 무리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동평균선은 대략적인 추세 파악에는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이동평균선의 기본.. 2023. 8. 7.
[주린이의 주식 공부기 #3] 캔들의 종류와 매매 시기 파악하기 1. 캔들의 기초 - 양봉, 음봉, 아랫꼬리, 윗꼬리 캔들이란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기록을 의미합니다. 캔들에는 그 시간동안 생긴 가격 정보, 매도, 매수세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캔들만으로도 가격의 흐름을 파악할수도, 매매 기법을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캔들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시가, 종가, 고가, 저가' 개념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캔들이 일정 기간동안의 가격 정보를 담고 있기에 캔들의 시가, 종가, 고가, 저가 모두 한 타임 프레임 안에서의 가격 정보를 의미합니다. 시가는 한 타임프레임의 시작 가격을, 종가는 종료 가격을 의미합니다. 고가는 한 타임프레임 안에서 가장 높았던 가격을, 저가는 가장 낮았던 가격을 의미합니다. 다시 캔들로 돌아가보겠습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서 빨간색.. 2023.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