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주린이의 주식 공부기 #3] 캔들의 종류와 매매 시기 파악하기

by Seon0e 2023. 8. 2.

1. 캔들의 기초 - 양봉, 음봉, 아랫꼬리, 윗꼬리

 

캔들이란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기록을 의미합니다. 캔들에는 그 시간동안  생긴 가격 정보, 매도, 매수세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캔들만으로도 가격의 흐름을 파악할수도, 매매 기법을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캔들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시가, 종가, 고가, 저가' 개념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캔들이 일정 기간동안의 가격 정보를 담고 있기에 캔들의 시가, 종가, 고가, 저가 모두 한 타임 프레임 안에서의 가격 정보를 의미합니다. 시가는 한 타임프레임의 시작 가격을, 종가는 종료 가격을 의미합니다. 고가는 한 타임프레임 안에서 가장 높았던 가격을, 저가는 가장 낮았던 가격을 의미합니다. 다시 캔들로 돌아가보겠습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서 빨간색 캔들은 양봉, 파란색 캔들은 음봉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서는 초록생이 양봉, 빨간색이 음봉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양봉과 음봉이 무엇일까요? 양봉은 종가가 시가보다 높은 경우를 말하며, 매수세가 매도세 보다 강한 경우 나타납니다. 반대로 음봉은 시가가 종가보다 높은 것을 말하며, 매도세가 강할 경우 나타납니다. 캔들에는 몸통 이외에 위아래에 꼬리가 달려있습니다. 윗꼬리는 고가를, 아랫꼬리는 저가를 나타냅니다. 윗꼬리가 달린 캔들은 주가가 상승하던 중에 매도세가 유입되었음을, 아랫꼬리는 주가가 하락하던 중 매수세가 유입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즉, 시가에서 출발해 종가를 향해 내려가던 것을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시가 위로 올라간 것이죠. 

 

2. 캔들의 종류 - 장대양봉/장대음봉, 망치형 캔들/교수형 캔들, 도지형 캔들

 

캔들에는 수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이 많은 캔들의 종류를 암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가격이 형성되는 과정을 머릿속으로 이해하실 수 있을 정도로만 공부하시면 차트에 쉽게 적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첫번째로 장대양봉과 장대음봉을 알아보겠습니다. 장대양봉과 장대음봉이란 위아래로 꼬리를 그리지 않고 시가부터 종가까지 직진한 캔들입니다. 이는 매수세와 매도세가 매우 강력한 것으로 현재에 해당한는 추세를 쭉 이어갈 확률이 높습니다. 두번째는 망치형 캔들과 교수형 캔들입니다. 망치형 캔들과 교수형 캔들은 아랫꼬리가 윗꼬리에 비해 훨씬 긴 캔들을 의미합니다. 하락 추세를 보이며 저점에서 나타나면 망치형 캔들, 상승 추세를 보이다가 고점에서 보이면 교수형 캔들이라고 분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두 개의 캔들 모두 망치형 캔들이라고 불립니다. 망치형 캔들과 교수형 캔들은 추세 전환의 강력한 시그널입니다. 반대로 윗꼬리가 아랫꼬리에 비해 훨씬 긴 캔들은 역망치형 혹은 유성형이라고 불립니다. 이 역시 추세 전환의 강력한 시그널이니 차트에서 발견한다면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은 도지형 캔들입니다. 도지캔들이란 시가와 종가가 똑같거나 거의 변화가 없어 십자가 형태를 띄는 캔들을 의미합니다. 도지 캔들 역시 추세 전환을 나타내는 캔들이니 차트에서 발견한다면 유의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여태까지 살펴본 캔들들이 추세 전환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지만 캔들만을 가지고 매매 결정하기는 매우 위험합니다. 다른 지표들까지 모두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3. 상승세/하락세 전환 패턴 - 적삼병/흑삼병, 샛별형/석별형

 

2번 캔들의 종류에서는 단일 캔들만을 가지고 추세를 예측해 보았습니다. 3번에서는 여러 캔들의 패턴을 통해 추세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적삼병과 흑삼병을 살펴보겠습니다. 적삼병은 시가와 종가가 모두 계속 상승하며 위아래 꼬리가 길지 않은 양봉 3개가 연속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적삼병이 나타난다는 것은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적삼병은 상승 전환 패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양봉의 길이 등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항상 상승 전환되는 것은 아닐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흑삼병은 무엇일까요? 대충 예상이 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적삼병과는 정반대 개념으로 위아래 꼬리가 길지 않은 음봉 3개가 연속으로 나타나면서 각각의 시가와 종가가 계속 하락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하락 전환 패턴입니다. 다음으로 샛별형과 석별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패턴 역시 3개의 캔들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첫번째 캔들은 기존 하락 추세에서의 긴 음봉, 두번째 캐들은 도지 캔들, 세번째 캔들은 긴 양봉(거래량을 동반한 긴 장대양봉일수록 좋습니다.)이 나타나는 것을 샛별형이라고 합니다. 이 패턴은 나타나면 상승 추세로 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석별형은 샛별형의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상승 추세에서의 양봉이 처음 나타나고 도지 캔들이 나타난 후 장대음봉이 나타나는 패턴을 석별형이라고 하며 하락 전환 패턴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