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주린이의 주식 공부기 #4] 이동평균선, 거래량

by Seon0e 2023. 8. 7.

1. 이동평균선 활용

 

이동평균선이란 설정한 기간에 따라 해당 기간의 평균 가격을 연결한 선입니다. 이동평균선 설정은 차트에서 마음대로 할 수 있으나 보통 5,10,20, 60,120일 선을 많이 사용합니다. 10일선을 예로 든다면 해당 이동평균선의 지점으로부터 10일 전 기간 동안의 종가를 평균 내어 연결한 선인 것입니다. 주식 거래장은 5 거래일마다 장이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보통 5의 배수로 설정하고, 가상화폐 시장에서는 7, 14, 25일 선 등을 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렇듯 이동평균선의 날짜 선정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며 정해진 답도 없습니다. 또한 이동평균선 하나만을 이용해 거래에 도전하기에도 무리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동평균선은 대략적인 추세 파악에는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이동평균선의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은 크게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20일 이동평균선까지는 보통 단기, 60일 이동평균선까지는 중기, 120일 이동평균선부터는 장기 이동평균선이라고 칭합니다. 이런 중, 장, 단기.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통해 거래자들은 대략적인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정배열입니다. 이는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짧은 순서대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배치된 모양으로, 상승 추세가 시작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배열이 나타난다면 지지선들도 한동안은 깨지지 않고 유지될 것이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역배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배열은 정배열의 반대 경우로, 장기, 중기, 단기 이동평균선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놓인 경우입니다. 정배열이 상승 추세를 나타냈다면, 역배열은 하락 추세를 의미합니다. 이동평균선의 배열이 중요한 이유는 이동평균선이 지지선과 저항선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정배열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동평균선이 순서대로 지지의 역할을 합니다. 5일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의 역할을 하다가 뚫리면 그다음으로는 10일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의 역할을 하듯 말입니다. 반대로 역배열 구간에서는 이동평균선이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처음에는 5일선의 저항을, 그다음은 10일 선, 20일 선의 순서로 저항을 받아 되밀리게 됩니다.   

 

2. 골든 크로스, 데드 크로스

 

골든 크로스란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뚫고 나온 형태를 의미하며 상승 추세로 전환됨을 의미합니다. 골든 크로스 역시 단기, 중기, 장기 골든 크로스가 존재하며, 단기 골든 크로스란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한 것을, 중기 골든 크로스란 20일 선이 60일 선을 돌파한 것을, 장기 골든 크로스란 60일 선이 120일 선을 돌파한 것을 의미합니다. 3개의 골든 크로스 모두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암시하기는 하나, 단기 골든 크로스만으로 추세가 전환될 것이라고 예측하기에는 무리입니다. 중, 장기 이동평균선의 흐름을 함께 확인하며 진입하는 것이 좀 더 안전한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데드 크로스는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하락장의 시작을 암시합니다. 가격 조정을 거치고 반등을 하는 것처럼 보여도 이 시점에 데드 크로스가 보인다면 다시 한번 하락이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면 주식 시장의 추세를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의 상황을 예측하는 정도이지 골든 크로스가 나왔다고 무조건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데드 크로스가 나왔다고 항상 하락하는 것도 아닙니다. 이동평균선과 골든, 데드 크로스를 통해 시장의 추이를 예측하는 정도로만 사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것만을 활용하여 매매를 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다른 다양한 지표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매매에 도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거래량

 

주식 차트 아래쪽을 보면 막대그래프 모양의 차트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가 나타내는 것이 거래량입니다. 주식 시장에서의 거래량이란 매수, 매도를 통해 이루어진 거래의 양을 의미합니다. 하루 동안 누군가가 100주를 매수했다면 다른 누군가는 100주를 매도했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 하루 동안의 거래량이 100주가 됩니다. 거래량 차트를 보면 가격 차트의 양봉, 음봉과 같이 빨간색과 파란색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날 대비 거래량이 늘었다면 빨간색으로, 줄었다면 파란색을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전날 대비 거래량이 줄었는지, 늘었는지를 파악해 매매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와 거래량이 모두 전날 대비 상승했다면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을, 주가는 상승했으나 거래량은 줄었다는 것의 의미는 추가적인 주가 상승이 예상되어 주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팔지 않고 주가가 오르기를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주가는 하락하고 거래량은 상승했다는 것은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주가와 거래량이 모두 하락하는 것은 매수세가 약하다는 것을 말합니다.